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okidoki
- Svelte
- react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SWIFT
- 개발자
- hokeys
- 자료구조
- TDD
- 계명대
- 비동기
- Hitit
- 호키도키
- 힛잇
- 계명대 이종호
- 자바스크립트
- HTML
- 이종호
- 스벨트
- 리액트 예제
- jest
- data structure
- IOS
- 스위프트
- 리액트
- 자스민
- 호키스
- queue
- javascript
- 개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05)
Dog foot pr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dhVd/btqH8cLv549/em8QQTM2k0kQRK98GRS5Z1/img.png)
React로 Calendar app만들기 -3 Calendar container 요일 표시하기 이번 작업은 요일을 표시하는 Datehead component를 작업할 예정입니다. 현재 우리의 달력 app은 한글로 이루어져 있지만 사용자에 따라 영어로 sun, mon, tue, wed, thu, fri, sat,로 표현도 가능하고 한자로 日, 月, 火, 水, 木, 金, 土 로 표현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개발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Dateheader component로 요일에 대한 표현을 전달하면 요일을 표시하도록 구상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다형성의 원칙으로 인하여 “sun, mon, tue, wed, thu, fri, sat”도 요일을 모은 표시 형식이며, [‘sun’, ‘mon’,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GjdH/btqH0WPazOD/cNLPk96YCt1yfWnH8VEMu1/img.gif)
React로 Calendar App 만들기 – 2. 헤더 만들기 헤더에 나타나는 표시사항으로는 현재 표시하고 있는 달, 오늘 날짜, 월 이동 입니다. 위의 모든 내용들은 App component에서 관리되고 Header component로 props로 전달할 겁니다. 앞서 말했듯이 이 프로젝트는 Date객체가 아닌 외부 라이브러리인 moment.js를 사용해서 더욱 빠르게 project를 향상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할겁니다. Moment.js의 설명은 git의 moment.js 페이지를 참조 해주시기 바랍니다. Yarn add moment 명령어를 통하여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 moment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도록 합니다. 이후 app.js에서 moment를 import하고 header compone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biMS/btqHMuTwOV6/6SJCpY7oczQ8HvLNTxYKY0/img.png)
React로 Calendar app만들기 기본 세팅 Yarn create react-app calendar로 적당한 위치에 react-project를 만든다. 기본 세팅을 위해서 필요 없는 것들을 src폴더에서 삭제하고 App.js를 Calendar.js 로 변경 한다. Calendar는 Class형 컴포넌트로 변경하고 테스트를 위해 Hello Calendar를 입력한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export default class Calendar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 Hello Calendar ) } } export default Calendar; index.js도 아직 붙어 있는 service wor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vG82/btqHJiFHpXh/nknmlK6KzaFVOtbcFjsabk/img.jpg)
서론 및 구매 이유 졸업을 목전으로 두고 있기에 아이패드를 필기용에서 사이드카를 주목적으로 두게 되면서, 최근에 9.7 6세대 아이패드에서 프로 12.9형 2세대 모델로 변경하게 되었다. 12.9인치 2세대를 처음 맞이하게 되었을 때 든 생각은 "무겁다 ... 크다..." 였다. 그도 그럴 것이 무려 3인치 이상 크게 되면서 이전에 사용하던 12인치 맥북보다 훨 씬 큰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껏 들뜬 생각을 가지고 책상에 세팅해보았을 때는 만족 했었다. 그도 그럴 것이 프로그래밍의 결과물을 9.7의 디스플레이로 보다가 시원 시원한 디스플레이로 보니 그 차이가 온 몸으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상 못한 복병이 존재 하였는데, 9.7인치 아이패드를 케이스로 세워두게 되면 그래도 넉넉히 ..
Express 강의 소개 Express 프레임 워크는 기존 node.js의 http모듈을 활용하여 많은 API를 지원하고 , Express를 지원하는 많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가 존재하여, 기존 HTTP 모듈을 사용할 때 보다 훨씬 빠르게 node.js를 통한 서버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 워크입니다. 이번 Express강의는 javascript의 es6문법을 어느정도 이해한 자바스크립트 중급 이상 실력을 가진 자스민 회원을 대상으로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간단한 통신 예제로 회원가입과 글쓰기, 수정,삭제가 포함되어 있기에 mysql 데이터베이스의 query문 작성 요령을 미리 알고 있으면 이번 강의를 이해하는데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프라인 강의 순서 오프라인 강의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VRlA/btqHLfPcecm/iTtsfraxn753QsfhcSFKl0/img.png)
React를 이용한 Calendar Application 만들기 서문 생각 보다 바닐라 JS를 이용한 calendar 만들기가 인기 있어 REACT를 활용한 Calendar app을 만들기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올 해 2020년 생각지도 못한 국가근로 및 코로나 사태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 포스팅을 중지 했었습니다. 그렇지만 Jasmin 회원들과 무럭 무럭 커가는 대한민국의 프로그래머 꿈나무에게 좀 더 도움이 되고자, 다시 포스팅을 시작 하도록 마음 먹었습니다. 개요 해당 Calendar Application은 사용자에게 달력을 제공 해줌으로써, 주말과 공휴일 그리고 현재 날짜를 구분하고 이번 달의 끝과 시작을 구분 할 수 있도록한다. 사용하는 lib Moment Moment는 날짜와 시간에 관련된 라..
OOP에 대하여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인 OOP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같은 프로그래밍 기법의 한 패러다임이다. 한글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불리우는 이 프로그래밍 기법은 기존의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달리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실행 순서대로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객체화 하고, 루틴들을 하나의 독립된 객체로 설정하며 프로그램의 구성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하여 코드는 재사용성의 증가라는 큰 이점이 생기고 이로인하여 관리자의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객체란 (object) 객체란 말 그대로 대상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여기서 대상이란 사람처럼 물리적인 실체가 있는 것들 뿐만 아니라, 수학, 철학처럼 논리적이고 추상적이지만 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sBEv/btqE410Nl57/brO8ACjC1jLYgAaFkjakk1/img.png)
Process란 먼저 program은 유저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 및 수행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program은 batch system에서는 job이라 불리며, time shared system에서는 user program이라고 불린다. 그러므로 이 program은 천공카드 혹은 하드디스크 내부에 file로써 보관되어 있는데 이를 수행하려면 memory에 적재되어야만한다. 이때 실행되는 program을 Process 라고 하며 active상태 인 프로그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Process영역 process는 여러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구성은 다음과 같다. Text : 현재의 프로그램 코드를 구성하는 영역 Program Counter : 다음 실행할 명령어 Stack : 임시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