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비동기
- 자바스크립트
- queue
- Svelte
- javascript
- TDD
- 호키도키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hokeys
- 리액트 예제
- hokidoki
- 계명대
- 리액트
- data structure
- 스위프트
- 자스민
- HTML
- 계명대 이종호
- IOS
- 개발자
- Hitit
- SWIFT
- 스벨트
- 개발
- 자료구조
- 이종호
- react
- jest
- 호키스
- 힛잇
- Today
- Total
목록함수형 컴포넌트 (2)
Dog foot pr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aEw6/btr6eWqNAwA/VByRKdrZIVcdLrViMz0FW1/img.png)
useEffect 란 ? useEffect 함수는 렌더링 이후 컴포넌트와 외부의 시스템을 연결해주기 위해 만들어진 훅이다. 별도로 컨트롤이 가능하다면, “useEffect”를 사용해, 사이드 이펙트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useEffect Types function useEffect(effect: EffectCallback, deps?: DependencyList): void; // type EffectCallback = () => (void | Destructor); type DependencyList = ReadonlyArray; // type Destructor = () => void | { [UNDEFINED_VOID_ONLY]: never }; useEffect는 첫번째 인자인 effect는 렌더..
서론 : 나는 React를 학원에서 처음 배울 당시 클래스 형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web app을 작성하였다.그 당시에도 Hook이 존재는 하였지만, CRA에서는 Hook을 지원하기 전이였고, 함수형 컴포넌트는 아직 보완할 점이 많아 React 사용자들에게는 뜨거운 감자 같은 것 이었다. 시간이 흘러 CRA에서 Hook을 공식지원하게 될 때, 나 또한 Hook에 발을 담가 보았지만, class형으로 만든 내 코드는 여전히 잘 동작 하였기에 나의 주목을 끌지 못하였다. 2020년 하반기 많은 것들이 변화하였다. Class형으로 작성한 내 코드는 규모가 커질 수록 관리하기 매우 어려웠으며, 빌드 속도가 증가하는 등 많은 이슈가 내 앞으로 다가왔다. 또한 Typescript 공부 할 수록, 함수형 컴포넌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