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avascript
- 스벨트
- react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계명대 이종호
- 리액트
- data structure
- 자바스크립트
- 이종호
- Hitit
- 리액트 예제
- hokidoki
- 호키도키
- IOS
- hokeys
- 호키스
- HTML
- jest
- 개발자
- TDD
- 힛잇
- 자스민
- Svelte
- SWIFT
- 자료구조
- 스위프트
- queue
- 비동기
- 계명대
- 개발
- Today
- Total
목록컴퓨터 구조 (2)
Dog foot print

컴퓨터의 기능 컴퓨터의 5대기능이라고 말하는 것들이 있다. 입력기능 : 외부에서 데이터를 컴퓨터를 입력하는 행위 연산기능 : CPU가 데이터를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연산 및 가공하는 행위 출력기능 : 모니터나, 프린터등 출력기기에 cpu가 연산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행위 저장기능 : 가공할 데이터 ,가공한 데이터를 메모리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행위 제어기능 : 여러 장치들이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또는 필요에 따라 실행 순서를 변경하도록 조정하며, 각종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행위 위에는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기능이라고 검색하면 일반적으로 나오는 것들인데, 학교에서 가르쳐준 기능 5개와는 조금 다르다. 프로그램 실행 : CPU가 주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서 실행 데이터 저장 : 프로그램 ..

컴퓨터는 우리가 쓰는 언어와 수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일까 ? 사실 컴퓨터는 0과 1말고는 이해하지 못한다. 이 0과 1을 기계어라고 하는데, 우리는 0과 1이아닌 C, C++,JAVA,JAVASCRIPT,C#등 다양한 언어를 활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고 컴퓨터를 학습시킨다.. 이렇게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컴퓨터언어에서는 고급언어라고 칭한다. 기계어(machine language) 기계어는 1과 0으로 이루어진 이진수로 이루어져있는 언어로써 CPU가 직접 해독하고 실행할 수 있는 비트 단위로 쓰인 컴퓨터 언어를 통틀어 일컫는다. - https://ko.wikipedia.org/wiki/기계어 실제로는 0과 1이라기 보다는 전기적 신호가 있나 없나이다. 그렇기에 지금처럼 반도체를 쓰지않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