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위프트
- 계명대 이종호
- IOS
- HTML
- TDD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jest
- 리액트
- 호키도키
- 자료구조
- Svelte
- 개발
- 이종호
- queue
- 리액트 예제
- 호키스
- 스벨트
- javascript
- 비동기
- hokeys
- react
- 자스민
- data structure
- 개발자
- Hitit
- hokidoki
- SWIFT
- 힛잇
- 계명대
- 자바스크립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05)
Dog foot pr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41o7/btqyr6HY8bh/kFiWfuw1ShtTYiiEuGK1LK/img.png)
이번 주 목요일부터 자료구조(2)수업이 실습수업을 겸하면서 오랜만에 만져보는 C언어와 자주 쓰지 않는 비쥬얼스튜디오를 익혀야 할 필요가 생겼다. 교수님은 다음과 같은 텍스트파일의 숫자를 트리에 삽입 및 노드에 있는 모든 값들을 더해서 출력하기를 원하셨다. 다만 문제가 있었다. 트리라고는 말씀하셨는데, 완전이진트리인지, 힙 트리인지 , 이진탐색트리인지를 제대로 못 들은 것이다. 그래서 그냥 완전 이진트리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삽입할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 문제는 완전이진트리의 삽입이 다른 트리와 다르게 노드간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맞는 위치에 삽입되는 형태가 아니라 노드가 삽입될때 부모노드의 왼쪽자식노드 , 오른쪽 자식노드를 채우고 , 마지막 레벨의 노드를 제외하고 모두 자식노드를 두개씩 가지고 있어야 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wwcE/btqygiHI3cO/UBH1dvKUUKyGyZntDjvhe0/img.png)
컴퓨터의 기능 컴퓨터의 5대기능이라고 말하는 것들이 있다. 입력기능 : 외부에서 데이터를 컴퓨터를 입력하는 행위 연산기능 : CPU가 데이터를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연산 및 가공하는 행위 출력기능 : 모니터나, 프린터등 출력기기에 cpu가 연산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행위 저장기능 : 가공할 데이터 ,가공한 데이터를 메모리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행위 제어기능 : 여러 장치들이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또는 필요에 따라 실행 순서를 변경하도록 조정하며, 각종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행위 위에는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기능이라고 검색하면 일반적으로 나오는 것들인데, 학교에서 가르쳐준 기능 5개와는 조금 다르다. 프로그램 실행 : CPU가 주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서 실행 데이터 저장 : 프로그램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n5V5/btqyd6V0G3f/v81QNOFkVy1RyxnN1rZGV1/img.png)
오늘은 CPU와 기억장치, I/O device들은 어떻게 정보를 교환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시스템 버스 시스템 버스란 CPU와 시스템 내 다른 요소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려는 통로이다. 예를 들어 int result = 10 + 10; 라는 수식을 작성하게 되면 cpu에서는 해당 식을 계산하여 result 변수가 있는 메모리에 20이라는 수를 저장하게 되고 printf("%d", result)를 하면 모니터에 출력되게 된다. 이 처럼 cpu와 다른 부품들로 데이터와 주소를 전달하는 통로를 시스템 버스라고 한다. 이 시스템 버스는 전달하는 내용에 따라 주소버스, 데이터버스, 제어버스로 나뉜다. 주소버스 (address bus) 주소버스는 일정한 메모리 번지를 찾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운반하는 버..
오늘 캡스톤 주제 발표가 있는 날이였다. 우리는 전자석을 표현한 웨어러블 점자입출력기와 교수님이 추천해주신 자율주행 심부름 로봇 키위로봇을 주제로 선정하여 오늘 코멘트를 받고 결정할 예정이였다. 기존의 점자입출력기는 모스부호로 입출력할 예정이였는데, 스트링을 출력하는 시간이 너무 느려터질 것 같아 대안으로 점자 입출력기로 변경 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오늘 우리의 발표내내 교수님의 심기가 불편했던 점이였다. 두번째 키위로봇을 발표하기 전 바로 발표를 중지 시키고 어떻게 만들건데라는 질문이 아니라, 이걸 너네가 할 수 있나 ? 라고 질문하였다. 나름 나도 코딩실력이나 문제해결능력 덕분에 컴공에서 무시받지 않고 다니고 다른 조원들 또한 뛰어나고 적극적인데, 교수의 걱정아닌 걱정? 이 마음의 상처를 쭈악 하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zzQc/btqyb0ntTtJ/MKztz6SknRWIERmDPaMr1K/img.png)
컴퓨터는 우리가 쓰는 언어와 수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일까 ? 사실 컴퓨터는 0과 1말고는 이해하지 못한다. 이 0과 1을 기계어라고 하는데, 우리는 0과 1이아닌 C, C++,JAVA,JAVASCRIPT,C#등 다양한 언어를 활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고 컴퓨터를 학습시킨다.. 이렇게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컴퓨터언어에서는 고급언어라고 칭한다. 기계어(machine language) 기계어는 1과 0으로 이루어진 이진수로 이루어져있는 언어로써 CPU가 직접 해독하고 실행할 수 있는 비트 단위로 쓰인 컴퓨터 언어를 통틀어 일컫는다. - https://ko.wikipedia.org/wiki/기계어 실제로는 0과 1이라기 보다는 전기적 신호가 있나 없나이다. 그렇기에 지금처럼 반도체를 쓰지않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SZN6/btqx8T3lSYF/16cpF0Yc1fsDG6TCmOiuV1/img.png)
컴퓨터구조론을 수업을 수강하면서 미리 1장을 읽어보았는데, 내가 매일 사용하던 컴퓨터의 구조와 역사를 접하니 조금 놀라웠다. 카테고리를 따로 만들 생각이 없었지만 내용이 워낙 방대하고 컴퓨터 구조론이 종강후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되리라 판단하여 시간 나는대로 꾸준히 포스팅을 할예정이다. 컴퓨터의 기능 컴퓨터는 데이터를 읽어서(read), 처리하고(processing), 저장(store)한다. read와 store는 단어만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하지만 processing이라는 부분은 조금 익숙치 않을 수 있다. 우선 processing 은 process에서 파생된 말임을 알 수 있는데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종종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업과 같은 의미로 쓰인..
방학동안 자스민 스터디 과제로 매일 2개 ~ 1개의 포스팅을 진행하다보니 때때로는 무리하게 포스팅을 하기도 하고 늦은 밤까지 포스팅이 진행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보니 요즘은 무더위와 함께 포스팅에 지쳐가는데 자스민 스터디에서 혼자만 포스팅을 꾸준히하였기에 더욱 쓸쓸해져 잠시 재충전과 집중이 필요할 듯 합니다. 끊어진 데이터베이스 포스팅과 리액트 포스팅들은 추후 9월부터 다시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xUMP/btqxqX6whh9/lLkcmxaGBfiS6cmVWdK2G1/img.png)
redux라는 것을 알기 전 FLUX패턴과 FLUX패턴이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알 필요가 있다. UNIDIRECTION-DATA-FLOW 영어로 하니 무섭지만 한국어로 번역하면 단방향 데이터 흐름이다. 리액트는 각각의 컴포넌트가 state를 가지고 있고 상위컴포넌트가 하위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해줄때 props 개념을 사용해서 전달한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구조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ArticleList컴포넌트 하위에 있는 comment에 글을 작성하고 추가하려면 현재 접속해있는 user의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정보가 보관되어 있는 userStatus 컴포넌트는 comment와 다른 edge에 해당하고 있어 user정보를 현재 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comment컴포넌트와 userStatus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