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힛잇
- 계명대 이종호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IOS
- 호키도키
- TDD
- react
- 스위프트
- 자바스크립트
- 리액트
- 호키스
- 자료구조
- Svelte
- 이종호
- javascript
- Hitit
- 개발
- 비동기
- HTML
- hokeys
- 스벨트
- SWIFT
- data structure
- 자스민
- 리액트 예제
- jest
- queue
- 개발자
- 계명대
- hokidoki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node (1)
Dog foot pr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MGYx/btqwR3yAnBN/rkaR8BKXeeQ0POskZvTnK1/img.png)
javascript의 배열은 array-list라는 것의 형태를 띄고 있어 배열의 크기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c 같은 언어들은 배열의 크기가 존재하기에 한 배열을 유한하게 밖에 사용 할 수 없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노드리스트라는 개념을 만들어 각각의 구조체들로 서로를 연결하는 것을 만들었다. 연결리스트에는 단순 연결리스트, 이중연결리스트, 원형연결리스트가 있으며 이 연결리스트들을 이용하여 스택, 큐, 트리등 다양한 자료구조를 만들 수 있다. node 란 node란 data필드와 link필드를 가지고 있는 일종의 구조체로 link를 통해서는 다음 연결된 노드에 접근 할 수 있다. simple linked-list는 처음 노드를 header라고 하며 마지막 노드의 link는 항상 null이다. 연결리스트..
Javascript
2019. 7. 18.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