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호키스
- SWIFT
- 호키도키
- 계명대
- 자스민
- queue
- 스벨트
- 계명대 이종호
- 리액트 예제
- data structure
- 자료구조
- IOS
- hokeys
- HTML
- TDD
- 힛잇
- 리액트
- hokidoki
- 개발
- 개발자
- Hitit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jest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이종호
- react
- 스위프트
- Svelte
- 비동기
- Today
- Total
목록OS (3)
Dog foot print
스레드 쓰레드란 ? 쓰레드(Thread)는 프로세스처럼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기본 단위이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스 내의 개체이다. 즉 명령어를 독립적으로 실행 할 수 있는 하나의 제어 흐름이다. 프로세스는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면, 스레드는 이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실제로 작업을 실행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쓰레드를 가지고 있으며, 둘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는 프로세스를 멀티 스레드 프로세스라고 한다. (참고로 node.js는 단일 쓰레드를 가진다. ) 쓰레드의 상태 쓰레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가지고 있다. 쓰레드 실행 시의 상태(실행, 준비 등) 실행 스택 지역 변수와 스레드의 특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쓰레드 별 정적 저장소 프로세스의 다른 쓰레드가..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프로세서와 전혀 다른 말이다. 착각하기 쉬우니 조심하도록 하자 프로세스 프로세스란 ? 위키백과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여기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란 디스크에 저장되고 있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어 운영체제의 제어를 받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프로세스는 우리가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음악 플레이어, 게임 등을 이야기 한다. 이런 프로세스가 2개 이상 실행되는 것을 멀티 프로세스라고 하며, 두개 이상의 작업을 하는 것을 멀티 태스킹이라고 한다. 프로세스의 자원 프로세스가 실행이 되어 프로그램의 역할을 수행하려면 프로세서(cpu)점유 시간과 메모리파일, 입출력장치 같은 자원이 필요한데, 자원은 프로세스가 생성되거나 실행될 때..
운영체제 (OS)란 컴퓨터 사용자들은 복잡한 하드웨어의 제어 보다는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더 관심있기에, 복잡한 컴퓨터 자원을 할당하는 무언가가 컴퓨터 사용자들의 소프트 웨어 활용을 도와야 한다. 이것이 운영체제이다. Operating System 줄여서 OS라고 불리는 운영체제는 우리가 흔히들 쓰는 맥OS, 윈도우OS, 리눅스OS등이 있는데, 이 OS들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자원)을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반 환경을 제공한다. 운영체제의 역할 OS는 시스템을 운영하여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원(프로세서 시간, 메모리 공간, 파일 저장 공간,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