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종호
- HTML
- 개발자
- 계명대
- Svelte
- 스위프트
- 비동기
- 스벨트
- react
- 자스민
- data structure
- 개발
- 자바스크립트
- jest
- 호키도키
- javascript
- hokidoki
- Hitit
- 힛잇
- 계명대 이종호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TDD
- 자료구조
- queue
- 리액트 예제
- 리액트
- 호키스
- IOS
- SWIFT
- hokeys
- Today
- Total
목록OOP (2)
Dog foot print
서론 로버트 C 마틴의 Clean Architecture 의 책을 읽는 중, SOLID원칙이 등장하여, 이를 정리하고자 글을 써본다. 재미있는 부분이라 함은 SOLID 원칙의 SOLID는 기존에 존재하던 5가지의 원칙의 이름을 2000년대 초반 마이클 페더스(레거시 코드 활용전략 저자)가 로버트 C마틴에게 앞 글자만 따서 재배열하여 SOLID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이다. SOLID SOLID 원칙은 함수와 데이터 구조를 클래스로 배치하는 방법, 그리고 이들 클래스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해준다. (절대 객체지향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국한되지 않는다.) SOLID원칙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의 역할이 아닌 삽입과 삭제)변경에 유연하다. (프로그래머가) 이해하기 쉽다. 많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사용될..
OOP에 대하여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인 OOP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같은 프로그래밍 기법의 한 패러다임이다. 한글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불리우는 이 프로그래밍 기법은 기존의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달리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실행 순서대로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객체화 하고, 루틴들을 하나의 독립된 객체로 설정하며 프로그램의 구성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하여 코드는 재사용성의 증가라는 큰 이점이 생기고 이로인하여 관리자의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객체란 (object) 객체란 말 그대로 대상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여기서 대상이란 사람처럼 물리적인 실체가 있는 것들 뿐만 아니라, 수학, 철학처럼 논리적이고 추상적이지만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