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velte
- 리액트 예제
- 리액트
- 자료구조
- react
- 호키스
- 이종호
- HTML
- hokidoki
- javascript
- TDD
- 계명대
- hokeys
- SWIFT
- 호키도키
-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 IOS
- 비동기
- 스벨트
- 계명대 이종호
- queue
- data structure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스위프트
- 자스민
- 개발
- Hitit
- jest
- 힛잇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함수형컴포넌트 (1)
Dog foot pr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Z9Ao/btq0HaIha6k/9O107BveVIeSbTd3UnkeEk/img.png)
Side Effect ‘Side Effect’ 란 무엇인가 ? 바로 함수 호출 시, 함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다음의 코드를 보도록 하자 let a = 0; function sideEffect(){ a++; } sideEffect() sideEffect는 매개변수로 들어온 a를 변경하거나, a를 1을 증가시켜 return하지 않는다. 단순히 어떤 함수를 이용하다가 외부 스코프에 있는 변수 a를 변경하였다. 이처럼 외부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side Effect’라고 한다. ‘부수 효과’라는 어감 때문에, 무조건 안 좋은 느낌이 들 수 있지만 절대 나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Use effect 클래스 형 컴포넌트에서는 부수효과를 발생 시키기 위해, ‘component..
REACT
2021. 3. 22. 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