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개발
- 개발자
- 계명대
- hokidoki
- hokeys
- 힛잇
- 자료구조
- 리액트 예제
- Hitit
- IOS
- 호키스
- HTML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자스민
- 호키도키
- 비동기
- jest
- 자바스크립트
- 스위프트
- 이종호
- SWIFT
- queue
- 계명대 이종호
- data structure
- react
- TDD
- 스벨트
- javascript
- 리액트
- Svelt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자료구조 tree (1)
Dog foot pri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2Bpq/btqxhL4kEaC/Z8KZd0JqOv8A2HvkTYkPg1/img.png)
지난번 해시테이블 포스팅도 그렇고 이번 트리도 그렇고 꽤나 양이 방대해서 그런지 시리즈로 포스팅을 하고 있다. 나도 몰랐고 처음 해보는 자료구조들이라서 그런지 예제도 이해하는데 오래 걸리고 이를 토대로 다시 정리하는 것도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ㅜ.ㅜ 으쌰 으쌰해야겠다. tree의 표현 방법 트리를 만드는 방법은 배열 혹은 연결리스트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배열로 표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노드 A의 부모노드 인덱스 . : 해당 노드의 인덱스 i / 2; 임의의 노드 A의 왼쪽 자식노드 인덱스. : 해당 노드의 인덱스 i * 2; 임의의 노드 A의 오른쪽 자식노드 인덱스. : 해당 노드의 인덱스 ( i * 2 ) +1 배열로 트리를 만들게 되면 배열의 0번째 방은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배열..
Javascript
2019. 8. 5.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