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액트
- 힛잇
-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
- 호키스
- 스벨트
- 개발
- SWIFT
- HTML
- 자료구조
- 계명대 이종호
- Svelte
- 호키도키
- 개발자
- 스위프트
- Hitit
- jest
- 비동기
- 계명대
- react
- data structure
- queue
- hokeys
- javascript
- 리액트 예제
- hokidoki
- TDD
- 이종호
- 자바스크립트
- 자스민
- IOS
- Today
- Total
Dog foot print
[React] list component key에 대하여 . 본문
회사는 바삐 돌아가고, 공부 할 내용은 많아, 기획 되어있던 시리즈가 진도를 못나가고 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실수 할 만한 내용에 대해서 작성해보려 한다. 이 내용은 타입스크립트로 작성되어 있는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하지만, REACT의 특징을 어느정도 익힌 사람이라면 이해 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 있다.
Map 을 통한 컴포넌트로의 매핑
Map 메서드는 배열을 재구성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배열 메서드이다. 배열 타입이라면 map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혹시라도 map 메서드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
Common.js에서의 사용
const numbers = [1,2,3,4,5];
const addedTwoInNumbers = numbers.map((number)=>{
return number + 2;
})
console.log(addedTwoInNumbers) // 3,4,5,6,7
const addedIndexInNumbers = numbers.map((number,index)=>{
return number + index;
})
console.log(addedIndexInNumbers) // 1, 3, 5, 7, 9
map 함수는 콜백 함수를 첫번째 인자로 전달 받고, 이 콜백의 첫번째 인자는 순회되는 배열의 버킷, 즉 값이다. 두번째 인자는 현재 순회되고 있는 버킷의 index이다. 이를 조금 더 쉽게 for문으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function __map(callBack){
let __returnArray = [];
for(let i = 0; i < this.length; i++){
__returnArray[i] = callBack(this[i],i)
}
return __returnArray;
}
Array.prototype.__map = __map;
React에서 사용
React에서 JSX문법을 사용할 때 배열 내부에 컴포넌트들이 존재한다면 이를 render의 return 내부에 전달하게 될 경우, 해당 배열에 있는 컴포넌트들이 JSX문법에 따라 차례대로 나열되게 된다.
import React, {useState} from 'react';
import logo from './logo.svg';
import Tab from './Todo';
import './App.css';
interface TodoInterface {
value : string,
done : boolean
}
const App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TodoInterface[]>([]);
const create : (todo : string) => void = (value : string)=>{
const todo : TodoInterface= {value : value, done : false}
setTodos([...todos,todo])
}
const todoDelete : (index : number) => void = (index : number) =>{
setTodos([
...todos.slice(0,index),
...todos.slice(index + 1, todos.length)
])
}
return (
<>
<div>
<h1>Todos</h1>
<input type="text" value={value} onChange={(e)=>setValue(e.target.value)}/><button onClick={()=>create(value)}>생성</button>
{todos.map((todo,index)=>{
return <Tab todo={todo.value} index={index}delete={()=>todoDelete(index)}/>
})}
</div>
</>
)
}
export default App;
위의 코드는 Todos 배열에 존재하는 Todo 타입의 객체를 컴포넌트로 변경 후 return 하는 코드이다. Todo 컴포넌트 또한 보자.
import React, { useState,useEffect } from 'react';
interface TodoTabPropsInterface {
todo : string,
delete : () => void,
index : number
}
const TodoTab = (props : TodoTabPropsInterface) =>{
const { todo,index } = props;
return (
<div>
{index}. : {todo}<button onClick={props.delete}>삭제</button>
</div>
)
}
export default TodoTab;
단순히 props로 value : string을 받고 이에 대하여, 화면에 Tab형태로 나타나는 코드이다. 여기 까지 똑같이 작성하였다면 크롬 검사창에는 다음과 같은 경고 메세지가 우리를 반겨준다.
즉 배열을 이용한 리스트 형태는 key prop을 전달하라는 메세지 이다. 경고가 나왔으니 삭제나 삽입을 시도 해보자 .
삽입이나 삭제도 별 문제가 없다. 그럼 여기서 Tab의 텍스트 영역을 클릭하게 되면 line-through가 되도록 Tab에 State를 넣어보자.
const TodoTab = (props : TodoTabPropsInterface) =>{
const [done, setdone] = useState(false)
const { todo,index } = props;
return (
<div>
{index}. : <label style={done ? {"textDecoration" : "line-through"} : {}}
onClick={()=>setdone(!done)}>
{todo}
</label><button onClick={props.delete}>삭제</button>
</div>
)
}
자 실행하니 별 문제 없이 state에 따라 작동한다. 그러나 문제는 다음이다. 어느 Tab의 label을 클릭 후 done을 true로 만든 다음, 해당 Tab을 삭제해보자.
저주 받은 코드인가 ? 2번 Tab의 done을 true로 한 뒤 삭제하니 3번에 있었던 라벨이 2번으로 오며, state가 동일하게 적용 되었다. 혹시 모르니 key를 index로 만들어 보자 .
{todos.map((todo,index)=>{
return <Tab todo={todo.value} key={index} index={index}delete={()=>todoDelete(index)}/>
})}
이번에는 경고 메세지가 아닌 다른 다른 메세지가 콘솔창에 출력된다.
Index를 넣으니 index를 사용하지 말라고 한다. 그렇다면 Tab-index 형태를 사용하여, key를 넣어보자.
{todos.map((todo,index)=>{
return <Tab todo={todo.value} key={`Tab-${index}`} index={index}delete={()=>todoDelete(index)}/>
})}
동일한 경고 메세지는 크롬 콘솔에 출력된다. 그렇다면 작동 하기는 할까 ?
처음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useEffect를 사용해서 삭제되는 컴포넌트의 index를 확인해보자 .
const TodoTab = (props : TodoTabPropsInterface) =>{
const [done, setdone] = useState(false)
useEffect(()=>{
console.log("component did mount")
},[])
useEffect(()=>{
return () =>{
console.log(`todo tab - ${props.index}component will unmount`);
}
},[])
return {…}
3번을 삭제하게 되면 분명 todo tab-3 component will unmount 메세지가 출력되어야 한다. 그러나 결과는 5 번이 언마운트 되었다고 출력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배열로 구현된 list는 key라는 props로 state를 유지하고 구현한다. 만약 key로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게 되면 key는 자동으로 indexing되어 버킷의 인덱스 번호와 일치하게 된다.
이때 3번의 Tab을 삭제하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다시 배열은 [1,2,4]로 변경되며, 각각의 탭은 key를 indexing하게되어 1,2,3의 key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3번을 삭제한다하여도, 3번의 key는 유지되고, state가 유지되기 때문에 value가 4가 되어도 여전히 3번의 state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
당연하게도 유효하며 리스트 중 유일무이한 값을 key로 전달하면 된다. 이를 위하여, 위의 예제에서는 입력 시millisecond까지 가지고 있는 timestamp를 전달하도록 하자 .
먼저 인터페이스에 timeStamp를 추가한다.
interface TodoInterface {
value : string,
done : boolean,
timeStamp : string
}
Todo객체를 만들 때 date객체에서 getTime()메서드를 이용하여, 꽤나 유효한 key를 만들도록 하자.
const todo : TodoInterface= {value : value, done : false, timeStamp : String(new Date().getTime())}
이제 Todo객체를 생성 후 콘솔창을 보니 더 이상 경고메세지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제 특정 Todo를 클릭 후에 그 Todo를 삭제해보도록 하자 .
동일한 Todo를 삭제 했음에도 삭제했던 컴포넌트의 state가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 정확한 component가 삭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하면 좋은 자료들
https://robinpokorny.medium.com/index-as-a-key-is-an-anti-pattern-e0349aece318
https://ko.reactjs.org/docs/lists-and-keys.html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Hook기본 다지기#1 Use Effect (0) | 2021.03.22 |
---|---|
[React] Hook기본 다지기#0 Use State (0) | 2021.03.21 |
React 로 Calendar app만들기 - 5 Final (7) | 2020.09.15 |
React로 Calendar app만들기 -4 (4) | 2020.09.14 |
React로 Calendar app 만들기 - 3 (0) | 2020.09.08 |